AWS S3를 사용할 때 Presigned URL을 활용하면, 별도의 서버 프로세싱 없이도 안전하게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Presigned URL이 무엇이고, 어떻게 구현하는지 파일 업로드로 예를 들어 간단히 정리해보려고 한다.Presigned URL이란?Presigned URL이란 특정 객체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만 유효한 접근 권한을 임시로 부여하는 URL을 말한다. 예를 들어, 파일 업로드를 위해 서버에서 생성한 Presigned URL을 클라이언트에게 넘겨주면, 클라이언트는 이 URL을 통해 S3 버킷에 직접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는 파일 전송 업무를 맡지 않고 S3와 클라이언트를 바로 연결해주기만 하면 되므로, 트래픽과 서버 부하를 크게 줄일..
최근에 회사에 사람이 많아지다 보니, MR(Merge Request) 리뷰 하는 걸 자꾸 까먹게 된다...ㅎㅎ Merge Request(MR)이 쌓이다 보니 마지막쯤에 몰아서 하다 보니 병합 이슈가 생기기도 하고, 스트레스가 장난이 아니었다.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병합되지 않은 MR을 추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여러 명이 다양한 브랜치에서 작업할 때는 MR이 누락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 GitLab에서 병합되지 않은 MR 목록을 매일 아침 9시에 Slack 채널로 보내주는 봇을 만들었다. 예전에 배민 기술블로그에서 코드리뷰에 관한 글을 읽은 적이 있는데, 이번 기회에 한 번 적용시켜 보면 어떨까 싶어서 만들어봤다.개발 환경SlackNode.jsGitLab자동화 봇..
나는 이렇게 처음 노션API를 접했다. 회사에 프론트엔드 엔지니어가 없어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툴이 없었다. 그렇다고 매번 리소스 변경할 때마다 앱 업데이트를 할 수도 없었기 때문에, 뭔가를 만들어야 했다. 몇 가지 방법이 있긴하다. 1. Winform 윈폼은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생성 환경이다. 이걸로 리소스 업로더를 만들자니, 맥에서는 실행할 수 없고, 깔끔하게 만들기도 쉽지 않다. 윈폼 프로젝트 구성 자체도, 물론 내가 몰라서 그런거겠지만, 상당히 불편하고 관리하기 쉽지않게 만들어져있다. 2. 웹 제작 어차피 node.js를 사용할거라면, 웹을 제작하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이것도 윈폼과 비슷한 문제가 있다. 웹을 만들기 위해 많은 공부를 해야하고, 결국 나밖에 할줄 모른다면, 프..
앱 개발에 있어서 핵심적인 부분 중 하나가 Analytics라고 생각한다.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어야 마케팅을 할 수 있고, 앱의 방향성, 버그 수정 또한 수정할 수 있는 근거가 생긴다. 회사에서 내가 어쩌다 보니 Analytics 담당이 돼서 R&D를 하게 됐는데, 세미나 준비도 하면서 많이 공부한 것 같다. 이 글에서 어떻게 애널리틱스를 녹여냈는지, 어떤 전략으로 접근했는지 대략적으로 공유해보고자 한다. 유니티에서 Google Analytics를 사용하려면, Firebase SDK를 적용하면 된다. Firebase Analytics라는 GA의 경량화(?) 버전이 있다. 대략적인 데이터를 볼 수 있게 해주긴 하지만, 결국 세부적인 데이터를 보려면 GA로 봐야 한다. 유니티 Firebase SDK 적용하..
처음 취직할 때 노션으로 포트폴리오를 만들다보니, 일이나 공부를 하면서 배운게 전부 노션에 정리돼있다. 배운걸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고자 티스토리로 블로그를 이전하려고 한다... 언제 다 하지... 궁금하신 분들은 제 포트폴리오 노션 페이지 입니다! https://www.notion.so/isdororok/Portfolio-888d82a2dabf46f0875d228151171cd4?pvs=4